이재원 기자
[한국미래일보=이재원 기자] 대학은 지성의 전당이자 민주주의의 산실로 여겨진다. 그러나 정작 대학의 수장을 뽑는 총장 선거는 이러한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전임 교원과 일부 교직원만이 총장 선거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학생, 비전임 교원, 청소 노동자 등 대학의 실질적인 구성원들은 투표권이 없다. 이는 대학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다.
대학은 다양한 구성원들의 협력으로 운영된다. 학생들은 대학의 주체로서 교육의 중심에 있으며, 비전임 교원과 청소 노동자 등은 대학의 일상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총장 선거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있다. 이는 대학이 구성원들의 다양성과 참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민주주의의 원칙에 반하는 행태다.
사진=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총장 후보자들은 투표권을 가진 전임 교원과 일부 교직원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이들의 요구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환경 개선, 비전임 교원의 처우 개선, 청소 노동자의 노동 조건 개선 등 중요한 사안들이 선거 과정에서 외면당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결국 총장은 대학 전체의 이익보다는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인물로 전락하게 된다.
민주주의는 모든 구성원의 참여와 의견을 존중하는 시스템이다. 대학이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면 총장 선거에서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학생, 비전임 교원, 청소 노동자 등 모든 구성원이 투표권을 가져야 하며, 그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선거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참여를 확대하거나, 비전임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제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교육부와 대학 당국은 총장 선거 제도의 개혁을 통해 대학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한다.
대학은 사회의 축소판이며,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다. 그렇기에 대학의 운영은 더욱 투명하고 민주적이어야 한다. 총장 선거에서 모든 구성원의 참여를 보장하는 것은 대학 민주주의의 시작이며, 이를 통해 진정한 지성의 전당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