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의힘, 반대를 위한 반대 정치 반복…정책·비전 실종된 ‘공격 중심’ 전략 논란
  • 기사등록 2025-07-04 00:00:02
기사수정

[한국미래일보=이재원 기자] 이재명 대통령 당선 전까지 ‘이재명만은 안 된다’는 프레임으로 일관한 국민의힘이 정권교체 이후에도 여전히 파괴적 정치를 반복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선 과정에서는 정당의 정책과 비전은 가려진 채 네거티브 전략만 부각됐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는 김민석 총리 후보자 청문회를 둘러싼 공세에서 그 문제가 다시 한 번 반복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민석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총리로서의 자질과 정책 방향에 대한 검증보다는 가족의 경조사비, 전처와의 관계, 유학 자금 출처 등 사생활 영역을 파고드는 데 집중했다. 특히, 6억 원대 현금 흐름과 출판기념회 수익금 사용 내역, 전처가 유학비를 지원했다는 점 등을 도덕성 논란으로 몰아가며 김 후보자의 사적 영역을 공론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사청문회의 본질’을 흐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청문회는 총리 후보자가 국정을 수행할 능력과 철학, 정책 방향을 검증하는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은 일관되게 ‘도덕성 문제’만을 부각시키는 전략을 반복하고 있다. 이는 정치적 공세 이상의 의미를 찾기 어려운 ‘깎아내리기식 정치’로 비쳐지고 있다.


원내대표로 선출된 3선 송언석 의원

이러한 행태는 이미 대선 과정에서부터 나타난 바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당시 후보를 대상으로 한 공격에서 조국 사태, 형수 욕설 논란 등 개인적 도덕성과 과거 논란에 집중했으며, 당 차원의 정책이나 비전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반이재명’ 전략은 단기적 효과는 있었지만, 정당의 정책 정체성이나 미래 비전은 유권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못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러한 전략의 지속이 정치 불신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야당의 존재 이유는 정부 견제뿐 아니라 대안을 제시하고, 국정 운영에 대한 책임 있는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사생활 중심의 공격만을 반복하면서, 정당의 기능은 ‘비판’에서 ‘방해’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김민석 후보자의 해명 과정에서 일부 설명의 일관성 부족이나 자료 미비는 분명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총리 자격 전체에 대한 부정으로 확장하거나, 가족사와 과거 경조사까지 끌어와 도덕성 논란만으로 몰고 가는 것은 정치의 신뢰를 스스로 훼손하는 행위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정치의 본질은 견제와 감시뿐 아니라 합의와 대안 제시에 있다. 국민의힘이 ‘반대’라는 전략적 습관에만 매몰되어 있다면,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당으로 자리매김하기는 어렵다.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반대가 아닌, 대안을 가진 정치세력으로서의 존재감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민은 더 이상 ‘누구를 반대하느냐’가 아닌 ‘무엇을 할 수 있느냐’를 묻고 있다. 국민의힘이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지 못한다면, 다음 정치 주도권을 쥘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게 될 것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7-04 00:00:0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